제1권 제1호
편집위원장의 소개
김태진
Abstract
Download
터키에서의 한국전쟁 관련 주요 자료들에 대하여
Muhammed Cihad Kubat
Abstract
Download
*At the author's request, this article has been temporarily made open access.
이 논문은 터키의 한국 전쟁 참전과 관련된 주요 자료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터키 내 사학의 변화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남한 공격으로 발발한 한국 전쟁에 대응하여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북한에게 남한 영토에서 철수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 82호를 채택했다. 그러나 북한이 이에 응하지 않자, 안보리는 결의안 83호를 통해 회원국들에게 남한을 지원할 것을 요구했다. 터키는 신임 민주당 정부의 신중한 검토 끝에,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결의안 83호에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6,092명의 여단을 파견했다. 이 연구는 터키의 한국 전쟁 관련 주요 자료를 소개하고, 터키에서의 한국 전쟁 사학에 대한 사회문화적 의미와 경제적 맥락을 함께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터키의 한국 전쟁 사학은 국가 정체성과 외교 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를 통해 터키 내에서의 한국 전쟁의 인식과 해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탐구한다.
주제어: 터키, 한국 전쟁, 유엔 결의안 83호 , 터키-한국 관계사 현대사, 현대사.
Battles of the First Turkish Brigade in Korea
*At the author's request, this article has been temporarily made open access.
Abstract
Download
Muhammed Cihad Kubat
This article examines Turkey'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focusing on the Turkish Brigade's role in two major battles: Kunu-ri and Kumyangjang-ni. Turkey's decision to join the conflict was motivated by a desire to demonstrate its commitment to the Western alliance after remaining neutral during World War II. Initially offering a full infantry division, Turkey ultimately sent a brigade of 6,092 personnel, marking its first foreign military engagement since its founding in 1923. This study compares official accounts from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Turkey to provide a comprehensive history of the Turkish Brigade's involvement. It highlights discrepancies in these accounts, particularly regarding the Battle of Kunu-ri. The U.S. official history criticized the Turkish Brigade's performance and cited communication issues, which the paper attributes to differences in military cultures between Turkish and American forces. The Battle of Kumyangjang-ni proved to be a turning point for the Turkish Brigade's reputation. Their successful defense against Chinese forces, particularly their famous bayonet attacks, earned them recognition from UN Forces Commander General Douglas MacArthur, who dubbed them the "bravest of brave." This article argues that Turkey'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especially after the initial setback at Kunu-ri, played a crucial role in repairing its international credibility. This engagement had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urkey's internal politics, fostering the growth of pro-Americanism and anti-communism within the country. Overall, this study aims to fill a gap in existing literature by providing a balanced account of the Turkish Brigade's Korean War experience, drawing on multiple national perspectives.
Keywords: Türkiye, Korean War, Turkish Brigade, Battle of Kunu-ri, Battle of Kumyangjang-ni.
북한의 군사적 진화: 재래식 전력에서 핵 능력으로
김성한
Abstract
Download
본 연구는 북한의 군사 전략과 능력이 재래식 전력 중심에서 핵무기 보유국으로 진화해온 과정을 분석한다. 특히 이러한 군사적 변화가 북한의 대내외 정책, 경제 상황, 그리고 국제 관계에 미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먼저, 한국전쟁 이후 북한의 초기 군사 전략과 재래식 전력 증강 노력을 살펴본다. '4대 군사노선'의 채택과 실행, 그리고 이에 따른 군수산업 발전 과정을 분석한다. 이어서 1990년대 이후 경제난과 재래식 전력의 노후화가 북한의 군사 전략에 미친 영향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북한의 핵개발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을 단계별로 분석한다. 초기 핵 기술 확보 노력부터 최근의 핵무기 고도화에 이르기까지의 기술적, 정치적 과정을 추적한다. 특히 국제사회의 제재와 협상 노력이 북한의 핵 정책에 미친 영향을 평가한다. 또한, 핵무기 보유가 북한의 대외 전략과 협상력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핵 억지력'을 내세운 북한의 외교 전술 변화와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북한의 군사적 진화가 한반도 및 동북아 안보 구도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고, 향후 전망과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북한의 군사 전략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북한 체제의 본질과 향후 변화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자 한다.
주제어: 북한 군사전략, 핵개발, 재래식 전력, 억지력, 동북아 안보
대한민국 군대의 현대화: 1970년대 이후 전략과 기술의 변화
박지후
Abstract
Download
1970년대 이래로 대한민국 군대가 겪어온 현대화 과정을 본 연구에서 탐구한다. 전략의 변화와 기술의 발전이 주된 분석 대상이며, 안보 환경의 변동, 경제 성장, 그리고 한미동맹이 군 현대화에 끼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연구는 박정희 정부의 자주국방 정책과 방위산업 육성으로 시작한다. 윤보선 미사일 등 초기 국산 무기 개발을 통해 자주적 군사력 증강의 첫걸음을 조명한다. 이어서 1980~90년대의 군 구조 개편과 전략 변화를 검토한다. 북한의 비대칭 위협에 맞선 새로운 전략 수립과 첨단 무기 체계 도입 과정이 논의된다. F-16 전투기 획득, K1 전차 자체 개발 등 주요 현대화 사례를 분석한다. 2000년대 이후에는 네트워크 중심전(NCW) 개념 채택, 우주 및 사이버 영역으로의 확장 등에 초점을 맞춘다. 국방개혁 2.0과 같은 포괄적 혁신 정책의 내용과 그 성과를 평가한다. 한미동맹 변화가 한국군 현대화에 미친 영향도 고찰 대상이다.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준비 과정에서 드러난 한국군의 역량 강화 노력을 특히 주목한다. 끝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군사적 응용과 미래 전장 대비 현황을 전망한다. 이를 통해 한국군 현대화의 역사적 맥락과 향후 과제를 종합적으로 제시하여, 미래 국방 정책 수립에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주제어: 군 현대화, 국방 혁신, 방위산업, 군사 기술, 한미 군사협력